고객지원
자료실
공구수명
2007-07-13 14:51
작성자 : 관리자
조회 : 4077
첨부파일 : 0개

공구수명

 

 

공구의 마모

 

공구의 마모형태는 경사면마모(crater wear), 여유면 마모(flank wear) ,결손(chipping) 등으로 나타나며 이와 같은 공구의 마모에 의해 절삭능률이 저하하고 가공되는 치수의 정밀도와 표면상태가 불량해지는 결과를 가져온다.

 

 

1.경사면 마모(crater wear)

 

 

칩(chip) 에 의해 공구의 경사면이 움푹 파이는 마모형태이며, 주로 유동형 칩이 발생될 때 많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마모형태를 완화시키는 방법으로는 공구상면을 연마하고 윤활성이 좋은 윤활제를 사용하며 공구경사각을 크게 하고 이송을 빠르게 해주는 방법이 있다.

 

 

2.여유면 마모(flank wear)

 

 

공구의 옆면 인선이 절삭면과의 마찰에 의해 발생되는 마모형태이며 주로 주철과 같이 불연속 절삭칩이 발생되는 재료가공시 많이 나타난다.

 

 

3.결손(chipping)

 

 

인성이 적은 절삭공구를 사용하여 가공할 경우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절삭저항의 변화가 발생하여 인선선단의 일부가 미세하게 탈락하여 나타나는 현상이다.

 

 

공구 수명의 판정 

 

공구의 마모가 증대되면 절삭상태가 악화되어 큰 파손을 야기하므로 안전과 경제성을 고려하여 그 시기를 정하고 공구교환 또는 재연삭을 해야한다. 이 시기를 공구수명이라 한다. 그 판정방법에는

 

 

1) 다듬질면의 상태: 공구의 날끝이 마모된 상태에서 가공이 이루어지면 다듬질면에 광택이 있는 밴드(Band)가 발생한다.

 

 

2) 가공치수의 변화: 공구의 날끝이 마모된 상태에서는 절삭하고자 하는 치수로 절삭하지 못하고 절삭의 시작부분과 끝점의 치수변화를 가져온다.

 

 

3) 절삭저항의 증가: 공구가 마모됨에 따라 절삭저항이 증가한다. 특히 주분력의 변화는 크지 않으나 배분력과 이송분력이 급격히 증가한다.

 

 

4) 공구마모 정도: 공구경사면 또는 여유면의 마모량이 일정하게 정해놓은 마모량에 도달되었을 때까지를 공구수명으로 판정한다.